contents area
흡연
- 작성일2022-05-24
- 최종검토일2024-04-03
- 담당부서기후보건·건강위해대비과
- 연락처043-219-2915
detail content area
한국인의 흡연 습성을 고려하면 담배 연기 속 미량의 유해물질도 위험하다
조사방법
-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표 1]과 같이 담배 연기(주류연*) 속 일부물질인 42종에 대한 함량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주류연:흡연 시 흡연자의 입안으로 직접 빨려 들어오는 연기를 말하며, 그렇지 않은 것은 '부류연'이라고 함식품의약품안전체에서 제시한 담배 주류연 중 42종 물질 목록에 관한 표로 VOCs(9종), 카르보닐류(8종), 중금속류(7종), NAs(4종), 기타(14종) 으로 구성됨. VOCs(9종) 카르보닐류(8종) 중금속류(7종) NAs(4종) 기타(14종) - 1,3- 부타디엔
- 이소프렌
- 아크릴로니트릴
- 벤젠
- 톨루엔
- 피리딘
- 스티렌
- 퀴놀린
- 비닐클로라이드
- 포름알데히드
- 아세트알데히드
- 아세톤
- 아크롤레인
- 프로피오알데히드
- 크로론알데히드
- 메틸에틸케톤
- 부틸알데히드
- 수은
- 니켈
- 납
- 카드뮴
- 크롬
- 비소
- 셀레늄
- N-니트로소노르니팀(NNN)
- 니트로소메틸아미노피리딜부다논(NNK)
- N-니트로소아나바신(NAB)
- N-니트로소아나타빈(NAT)
- 시안화수소
- 암모니아
- 1-아미노나프탈렌
- 2-아미노나프탈렌
- 3-아미노비페닐
- 4-아미노비페닐
- 벤조피렌
- 질소산화물
- 하이드로퀴논
- 레소르시놀
- 카테콜
- 페놀
- m+p-크레졸
- o-크레졸
- 식약처 분석에 사용된 담배제품의 니코틴 함량은 0.4~0.5mg 수준이었음
- 흡연 습성 분석에 사용된 국내외 5개 담배제품의 주류연 속 특정 성분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는 [그림 2]과 같음
- 분석 결과 국내외 5개 담배제품의 연기 속에 포함된 물질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주류연 중 함유 물질 검출 농도을 나타낸 표로 물질, 농도, 함량단위로 구성됨. 물질 농도 함량단위 일산화탄소 6280 μg/cig 타르 5100 μg/cig 니코틴 480 μg/cig 아세트알데히드 285 μg/cig 이소르펜 122.6 μg/cig 아세톤 113.48 μg/cig 산화질소 93.66 μg/cig 카테콜 65.78 μg/cig 톨루엔 29.4 μg/cig 메틸에틸케톤 21.64 μg/cig 프로피온알데히드 21.46 μg/cig 시안화수소 20.26 μg/cig 하이드로퀴논 20.24 μg/cig 1,3-부타디엔 20.1 μg/cig 벤젠 18.7 μg/cig 부틸알데히드 16.3 μg/cig 아크롤레인 10.28 μg/cig 포름알데히드 10.02 μg/cig 페놀 7.32 μg/cig 암모니아 6.38 μg/cig 레소르시놀 4.65 μg/cig o-크레졸 2.95 μg/cig 수은 2.7 μg/cig 피리딘 1.76 μg/cig m+p-크레졸 1.4 μg/cig 아크릴로니트릴 1.375 μg/cig 스티렌 1.34 μg/cig 크로톤알데히드 1 μg/cig 비닐클로라이드 0.7 μg/cig 퀴놀린 0.55 μg/cig 니켈 0.1 μg/cig 납 0.05 μg/cig 카드뮴 0.05 μg/cig 크롬 0.05 μg/cig N-니트로소아나바신(NAB) 0.0194 μg/cig N-니트로소노르니코틴(NNN) 0.0159 μg/cig N-니트로소아나티빈(NAT) 0.0148 μg/cig 니트로소메틸아미노피리딜부다논(NNK) 0.0147 μg/cig 1-아미노나프탈렌 0.00694 μg/cig 비소 0.00635 μg/cig 셀레늄 0.00495 μg/cig 3-아미노비페닐 0.00458 μg/cig 벤조피렌 0.00284 μg/cig 2-아미노나프탈렌 0.00266 μg/cig 4-아미노비페닐 0.00136 μg/cig - 식약처의 담배 연기 주류연 성분 분석에 사용된 담배제품은 니코틴 함량이 0.5mg의 담배제품이기 때문에 앞서 흡연 습성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 100명 중 니코틴 함량 0.1~0.2mg의 담배제품을 사용하는 흡연자 30명에 관한 데이터는 제외하고 나머지 70명에 대한 개인별 위해평가를 진행하였음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방법(표 2)과 네덜란드 국립의료원(Dutch National Institute for Public Heath and Environment, RIVM) 방법(표 3)으로 도출된 분석 값을 모두 비교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흡연 습성 변수는 70명 각각의 개별 변수(한국인 개별값)와 한국인의 흡연 습성 대푯값 변수(한국인 표준값)를 추가로 구분하여 비교하였음
- WHO 방법은 흡연자의 흡연 습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일 흡연량을 고려해 유해물질
노출량을 분석하나, RIVM 방법은 일일 흡연량과 흡연 습성을 고려해 유해물질 노출량을
분석함
WHO의 흡연 시 유해물질 노출량 평가 수식에 관한 표로 주요번수, 단위로 구성됨 ECWHO = (CCig*CPD*ED*EF) / (IR*AT) 주요변수 단위 ECWHO 물질 노출량 mg/m³ Ccig 한 개비당 성분 농도 mg/개비 CPD 하루 흡연량 개비/일 ED 노출 기간 년 ER 노출 빈도 일/년 IR 호흡률 m³/일 AT 평균시간(70년) 일 RIVM의 흡연 시 유해물질 노출량 평가 수식에 관한 표로 주요번수, 단위로 구성됨 ECRIVM = (RC*PV*PC*CCig*CPD*ED*EF) / (VISO*IR*AT) 주요변수 단위 ECRIVM 물질 노출량 mg/m³ RC 담배 연기 폐포 흡입량 - PV 퍼프 볼륨(1회 흡입량) ℓ/흡입 횟수 PC 퍼프 횟수(개비 당 흡입 횟수) 흡입 횟수/개비 Ccig 한개비당 성분 농도 mg/개비 VISO 분석 기기가 포집한 주류연 부피 ℓ/개비 CPD 하루 흡연량 cig/일 IR 호흡률 m³/일 ED 노출 기간 년 EF 노출 빈도 일/년 AT 평균시간(70년) 일 - 위해도 분석방법: 대상 물질의 발암 분류 등급을 고려하여 발암성 물질은 평생초과 발암
위해도(Excess Cancer Risk, ECR), 비발암 독성물질은 유해지수(Hazard Quotient,
HQ)를 아래 수식과 같이 산출함. 이때 노출 빈도 및 노출 기간은 실험 참여대상자의 개인
흡연 습성 정보를 적용함
※ ECR = 인체 노출량(㎎/㎥) × 발암성 물질에 해당하는 흡입 단위 위해도(per ㎎/㎥)
※ HQ = 인체 노출량(㎎/㎥) ÷ 물질의 흡입독성 참고치(㎎/㎥)
조사결과
- 비발암 독성물질 위해평가에서는 유해지수(Hazard Quotient, HQ)가 1을 초과할 경우 인체에 독성 반응의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므로 잠재적 위해가 있는 상태라고 해석할 수 있음
- 조사에 참여한 흡연자의 개인별 현재 흡연 습성과 주류연 성분분석 농도를 이용하여 주류연 중 유해물질 노출량을 추정하였으며, 유해물질별 흡입독성 참고농도를 고려하여 각 물질에 해당하는 유해지수를 산출함
- 흡입독성 참고대상 질환을 호흡기 질환 기준으로 구분하였으며, WHO방법보다
RIVM방법에서 평균값이 더 높고 허용 가능 수준을 넘는 물질은 아크롤레인,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로 조사되었음
비발암 독성물질 흡입 노출 위해평가-유해지수(WHO_한국표준)를 나타내는 표로 HI(호흡기), 아크롤레인,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크릴로니트릴, 암모니아, 페놀로 구성됨. WHO_한국표준 HI(호흡기) 아크롤레인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크릴로니트릴 암모니아 페놀 27577.2 25605.8 1676.5 142.3 114.2 32.0 4.3 1.8 비발암 독성물질 흡입 노출 위해평가-유해지수(WHO_한국개별)를 나타내는 표로 HI(호흡기), 아크롤레인,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크릴로니트릴, 암모니아, 페놀로 구성됨. WHO_한국개별 HI(호흡기) 아크롤레인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크릴로니트릴 암모니아 페놀 25517.2 23692.8 1551.3 131.6 105.6 29.9 4.0 1.7 비발암 독성물질 흡입 노출 위해평가-유해지수(WHO_한국표준)를 나타내는 표로 HI(호흡기), 아크롤레인,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크릴로니트릴, 암모니아, 페놀로 구성됨. WHO_한국표준 HI(호흡기) 아크롤레인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크릴로니트릴 암모니아 페놀 61688.2 57278.2 3750.3 318.3 255.5 71.7 9.8 4.1 비발암 독성물질 흡입 노출 위해평가-유해지수(WHO_한국개별)를 나타내는 표로 HI(호흡기), 아크롤레인,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크릴로니트릴, 암모니아, 페놀로 구성됨. WHO_한국개별 HI(호흡기) 아크롤레인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크릴로니트릴 암모니아 페놀 52116.8 48376.0 3183.3 267.8 218.1 59.6 8.3 3.4 - 발암 독성물질 위해평가의 경우 초과 발암 위해도는 발암성 독성물질 노출에 따른 추가적인 암 발생 확률을 의미하며, 초과발암 확률이 1×10-4(1,000명당 1명 암발생) 이상이면 '위해가 있다'’고 판단하고, 1×10-6(1,000,000명당 1명 암발생) 이하이면 '위해가 없다'고 판단함
- 흡연 습성이 적용된 발암 독성물성 흡입 노출 위해평가 결과, RIVM 방법이 WHO 방법보다 모든 조사대상 독성물질에서 ECR값이 높았음
- WHO 방법이 담배 연기가 100% 흡수되는 보수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주류연 성분분석 시 포집 조건에 따라 개비당 포집량을 ISO방법인 455㎖로 계산하였음
- RIVM 방법 적용 시 주류연 성분분석 방법을 단위 부피당 농도로 계산하였고, 실제 한국 흡연자의 일반담배 1개비당 흡입 부피는 약 1,400㎖로 조사됨
- 담배 연기가 폐에서 흡수되는 흡입량 70%를 고려하여도 약 980ml 정도로 총 담배 연기 흡입량이 WHO 방법보다 높아 위해평가 결과도 높은 것으로 판단됨
- RIVM 방법 기준으로 허용 가능한 수준(1,000,000명당 1명 암발생, 1×10-6)을 초과한
발암물질은 1,3-부타디엔, 아세트알데히드, 벤젠, 아크릴로니트릴, 포름알데히드로
조사되었음
비발암 독성물질 흡입 노출 위해평가-초과 발암 위해도 흡연형태 적용 발암 흡입노출(WHO_한국표준)를 나타내는 표로 Total, 1,3-부타디엔, 아세트알데히드, 벤젠, 아크릴로니트릴, 포름알데히드, 4-아미노비페닐, 1-아미노나프탈렌, 벤조피렌, 이소프렌, 2-아미노나프탈렌, 스티렌로 구성됨. WHO_한국표준 Total 1,3-부타디엔 아세트알데히드 벤젠 아크릴로니트릴 포름알데히드 4-아미노비페닐 1-아미노나프탈렌 벤조피렌 이소프렌 2-아미노나프탈렌 스티렌 2.07.E-01 1.33.E-01 2.73.E-02 2.49.E-02 1.53.E-02 4.88.E-03 3.58.E-04 1.60.E-04 1.58.E-04 1.21.E-04 6.07.E-05 3.00.E-05 비발암 독성물질 흡입 노출 위해평가-초과 발암 위해도 흡연형태 적용 발암 흡입노출(WHO_한국개별)를 나타내는 표로 Total, 1,3-부타디엔, 아세트알데히드, 벤젠, 아크릴로니트릴, 포름알데히드, 4-아미노비페닐, 1-아미노나프탈렌, 벤조피렌, 이소프렌, 2-아미노나프탈렌, 스티렌로 구성됨. WHO_한국개별 Total 1,3-부타디엔 아세트알데히드 벤젠 아크릴로니트릴 포름알데히드 4-아미노비페닐 1-아미노나프탈렌 벤조피렌 이소프렌 2-아미노나프탈렌 스티렌 1.92.E-01 1.24.E-01 2.52.E-02 2.31.E-02 1.43.E-02 4.51.E-03 3.30.E-04 1.47.E-04 1.46.E-04 1.12.E-04 5.59.E-05 2.78.E-05 비발암 독성물질 흡입 노출 위해평가-초과 발암 위해도 흡연형태 적용 발암 흡입노출(RIVM_한국표준)를 나타내는 표로 Total, 1,3-부타디엔, 아세트알데히드, 벤젠, 아크릴로니트릴, 포름알데히드, 4-아미노비페닐, 1-아미노나프탈렌, 벤조피렌, 이소프렌, 2-아미노나프탈렌, 스티렌로 구성됨. RIVM_한국표준 Total 1,3-부타디엔 아세트알데히드 벤젠 아크릴로니트릴 포름알데히드 4-아미노비페닐 1-아미노나프탈렌 벤조피렌 이소프렌 2-아미노나프탈렌 스티렌 4.62.E-01 2.99.E-01 6.10.E-02 5.57.E-02 3.42.E-02 1.09.E-02 8.01.E-04 3.58.E-04 3.54.E-04 2.70.E-04 1.36.E-04 6.71.E-05 비발암 독성물질 흡입 노출 위해평가-초과 발암 위해도 흡연형태 적용 발암 흡입노출(RIVM_한국개별)를 나타내는 표로 Total, 1,3-부타디엔, 아세트알데히드, 벤젠, 아크릴로니트릴, 포름알데히드, 4-아미노비페닐, 1-아미노나프탈렌, 벤조피렌, 이소프렌, 2-아미노나프탈렌, 스티렌로 구성됨. RIVM_한국개별 Total 1,3-부타디엔 아세트알데히드 벤젠 아크릴로니트릴 포름알데히드 4-아미노비페닐 1-아미노나프탈렌 벤조피렌 이소프렌 2-아미노나프탈렌 스티렌 3.96.E-01 2.59.E-01 5.18.E-02 4.59.E-02 2.84.E-02 9.32.E-03 6.61.E-04 2.98.E-04 2.88.E-04 2.24.E-04 1.16.E-04 5.65.E-05
SMOKING RISK
한국인의 흡연 습성과 건강 위해
한국인의 흡연 습성과 건강 위해